728x90 👨💻Computer Science73 [Linux]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1. 환경 Linux 기반 시스템 Bash shell(/bin/bash) 2. 쉘 스크립트 작성 및 권한 부여 2.1. 파일생성 및 권한 부여 파일생성 $ touch shell_script_practice.sh // 파일 생성 $ vim shell_script_practice.sh // 쉘 스크립트 파일 편집기로 열기 실행 권한 부여(파일의 상태 변경) $ chmod +x shell_script_practice.sh // 실행 권한 부여 2.2. 스크립트 상단에 #!/bin/bash 추가 #!/bin/bash ... 하단에 스크립트 작성 ... 2.3. 쉘 스크립트 실행 방법 ./[쉘스크립트 파일명] $ ./shell_script_practice.sh 3. 기본 문법과 예제 3.1. 기본 출력 echo,.. 2022. 5. 3. [네트워크] GET과 POST 사용자가 어떤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서 URL을 브라우져 주소창에 작성하고 엔터를 누르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단순히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였을 뿐이지만 서버 내부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웹페이지로 표현)하기 위해서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법인 HTTP Method에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GET방식과 POST 방식이다. GET 방식 우선 GET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면, 영어 Get이라는 단어는 가져오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인데, 이를 활용해서 이해하면 쉽다.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가져오는(GET)상황과 유사하게 GET은 어떠한 정보를 가져와서 조회하.. 2022. 4. 11. [Database] 프로그램과 MYSQL 연동 시 필요한 SQL 1. JDBC 드라이버 (Java DataBase Connectivity 드라이버) 자바에서 데이터에비스를 사용할 때에는 JDBC API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다. JDBC 드라이버는 DBMS와 통신을 담당하는 자바 클래스 자바는 DBMS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나의 JDBC API를 사용해서 데이터데이스 작업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익혀두면 모든 DBMS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JDBC의 구조 위에 언급했듯 자바 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에는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상관없이 JDBC API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게 된다. 각각의 DBMS는 자신에 알맞는 JDBC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JDBC API는 JDBC 드라이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한다. ex. java 기반 어플리케.. 2022. 4. 6. [Linux] 환경변수 환경변수란?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으로 쉘에서 정의되고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를 나타낸다. 1. 동작 범위에 따른 환경 변수 1.1. 로컬 환경 변수 현재 세션에서만 동작하는 환경변수 1.2. 사용자 환경변수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만 정의된 환경변수로 로컬 터미널 세션 또는 원격 로그인 세션을 사용하여 로그인할 때마다 로드된다. *관련 파일은 특정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로 .bashrc, .bash_profile, bash_login, .profile 등이 있다. 1.3. 시스템 전체 환경변수 해당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로 시스템 전원이 켜져있고 모든 사용자가 로컬 또는 원격으로 로그인할 때마다 .. 2022. 3. 29. [Linux] 리눅스 파일 구조 1. 파일 구조 ls -l : 명령어로 파일 목록 출력했을 때 보이는 화면 형식: {파일유형} : {파일권한} : {링크수} : {소유 계정} : {그룹명} : {파일크기} : {마지막 변경 일자} : {파일명} ex) d : rwxrwxr-x : 2 : jaekyung : jaekyung : 4096 : 3월 8 09:12 : Downloads ls -l 명령어로 보는 파일 구조 2. 파일 유형 -: 파일 d: 디렉토리 b: 블록 디바이스 c: 문자 디바이스 l: 링크 3. 허가권 r: 읽기 허가- 파일 내용을 읽을 수 있는지 결정 w: 쓰기 허가- 파일을 작성하거나 지울 수 있는지 결정 x: 실행 허가-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지 결정 r w x r w x r w x user user user grou.. 2022. 3. 28. [Linux] 리눅스 단축키 및 명령어 정리 1. 리눅스 단축키 1.1. 터미널 실행 관련 단축키 터미널 실행 : Ctrl + Alt + T 새로운 탭으로 터미널 실행 : Ctrl + Shift + T 새로운 창으로 터미널 실행 : Ctrl + Shift + N 탭으로 실해된 터미널 종료 : Ctrl + Shift + W 현재 터미널 종료 : Ctrl + Shift + Q 터미널 내에서 문자열 검색 : Ctrl + Shift + F 1.2. 터미널 내에서의 단축키 복사하기 : Shift + Ctrl + C 붙여넣기 : Shift + Ctrl + V 화면 Clear : Ctrl + L 콘솔 이동 : Alt + 좌/우 방향키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지 : Ctrl + C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일시 정지 : Ctrl + Z 일시 정지된 프로그램 다시 실행 .. 2022. 3. 28. [Linux] vim/vi 명령어 vim 명령어 vim은 vi IMproved의 약자입니다. vi에디터를 업그레이드 시킨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vi 명령어 vi는 텍스트 편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문법 강조 기능x) 이에 반해 vim은 여려 편리한 기능들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리눅스에는 vim에디터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vim으로 입력하나 vi로 입력하나 똑같은 기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vi 편집기 구조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 행 모드로 총 3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명령 모드 처음 vi 명령어로 vi에 들어가면 명령 모드 상태입니다.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 이동이 가능하며 명령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2022. 3. 25. [Linux] 리눅스 1. 리눅스(Linux)란? 리눅스는 오픈소스 운영 체제입니다.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는 CPU, 메모리, 스토리지처럼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리소스를 직접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S는 애플리케이션과 하드웨어 사이에서 모든 소프트웨어와 작업을 수행하는 물리적 리소스를 연결합니다. 1.1. 리눅스 활용 Linux는 UNIX와 유사하게 설계되었으나 발전을 거듭하며 전화기에서 슈퍼컴퓨터에 이르는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실행되고 있습니다. 모든 Linux 기반 OS에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관리하는 Linux 커널과 OS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일련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2. 커맨드라인이란? 커맨드라인을 통해 컴퓨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커맨드라인에서.. 2022. 3. 24. [Database] 04 - 4 SELECT문 SELECT문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SQL문 관계 대수의 실렉션과 의미가 완전히 다름 관계 대수의 실렉션, 프로젝션, 조인, 카티션 곱 등을 결합한 것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자주 사용됨 여러 가지 질의들의 결과를 보이기 위해서 그림 4.8의 관계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사용함 기본적인 SQL 질의 SELECT절과 FROM절만 필수적인 절이고, 나머지는 선택 사항 *일반 계산을 할 때는 SELECT 3+5 FROM DUAL(임의의 더미 테이블) *WHERE절은 관계 대수의 실렉션 연산과 같은 기능 *GROUP BY 그룹으로 만들기 *HAVING절 그룹화된 집계 함수를 적용한 그룹에 대해서 조건을 줄 때 사용 *ORDER BY절 값에 따라 정렬시킴(결과 릴레이션에 적용되는 것임) 별칭(al.. 2021. 10. 7. 이전 1 2 3 4 ··· 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