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비들 정확히 공부하기
1계층장비 – Repeater(디지털신호 반복재생), Hub
2계층장비 – Bridge(테이블을 관리함, learning – 포트별로 MAC 주소 기억해 두는 것, 서로 다른 구조의 네트워크를 translate해줌 -> 일반 스위치와의 차이점, 거대한 네트워크를 분리해서 충돌을 방지해줌), switch
-> 이렇게 하다가 loop 문제가 생김 -> 테이블이 바뀌게 됨. -> 한 곳에 두 개가 도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음.
-> 위와 같은 loop문제를 해결하는 것 -> Spanning Tree -> 가장 작은 값을 찾아가는 path를 만드는 것, 나머지는 지움
3계층장비 – Router(연결해주는 장비, 원거리에 있는 LAN들을 연결시켜줌, WAN을 가능하게 해줌)
-> 논리주소를 가지고 있음, 테이블 존재
4, 5계층장비 - 게이트웨이(모든 패킷들을 보고 결정가능)
Backbone Network -> 브릿지를 연결하여 고성능으로 만듬
Bridge 간에 연결할 때는 point-to-point link를 주로 사용함
-Virtual LAN이 무엇인가?
-> 포트별로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것을 수평적으로 그룹을 다르게 묶어서 사용하기 위해
-> 다른 switch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같은 그룹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묶어주는 역할을 해주는 것
-> 원래 그룹 메시지는 물리적으로 고정되지만 이러한 것들을 유연하게 묶어서 만든 것
중요한 것들
loop, Spanning tree, 계층별 장비, bridge, switch, router, Virtual LAN
'👨💻Computer Science >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네트워크] 19장 Network Layer: Logical Addressing (0) | 2021.07.24 |
---|---|
[컴퓨터네트워크] 18장 Virtual-Circuit Networks: Frame Relay and ATM (0) | 2021.07.24 |
[컴퓨터네트워크] 14장 wireless LANs (0) | 2021.07.24 |
[컴퓨터네트워크] 13장 Wired LANs: Ethernet (0) | 2021.07.24 |
[컴퓨터네트워크] 12장 Multiple Access (0) | 2021.07.24 |
댓글